ㆍ by Emily
요즘엔 집에서 파스타, 볶음밥, 찌개까지 손수 해 먹는 분들이 늘면서 치킨스톡을 찾는 수요도 크게 늘고 있습니다. 특히 단맛, 짠맛을 넘어서 “풍미”를 만드는 데에 필요한 요리 베이스로 많이 사용되죠. 저는 이번에 인터넷에서 직접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을 꼼꼼히 조사해봤고, 가격대비 효과가 좋은 제품 위주로 골라봤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가성비와 맛, 성분, 활용도를 중심으로 5가지 제품을 비교해보려 합니다.
닭고기 함량 & 베이스 추출물의 구성
실제로 치킨스톡의 품질은 닭고기 추출물(엠티씨엠, 치킨브로스, 치킨오일 등)이 얼마큼 들어 있는가에 따라 풍미의 깊이가 달라집니다. 가루형일수록 향료 비중이 높고, 액상형·농축형일수록 닭 성분의 실제 함량이 많아 요리에 더 진한 맛을 줍니다.
제형과 사용 편의성
액상형은 풍미는 깊지만 보관이 어렵고 양 조절이 불편한 반면, 가루형은 덜 진하지만 빠르고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어요. 특히 자주 요리하거나 다양한 메뉴를 만드는 사람일수록 덜어서 쓰는 파우더형이 효율적입니다.
나트륨 함량 및 건강 부담
치킨스톡은 감칠맛을 위해 L-글루탐산나트륨(MSG)이 기본적으로 들어갑니다. 하지만 제품마다 나트륨 함량의 차이가 꽤 크기 때문에 국물 요리에 자주 넣는 분들은 나트륨 수치도 체크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루 기준치의 300% 이상을 초과하는 제품도 있어요.
제품명 | 용량 | 단백질(g) | 나트륨(mg) | 칼로리(kcal) | 특징 요약 |
---|---|---|---|---|---|
이금기 치킨스톡 | 272g | 16g | 6860mg | 140 kcal (100g당) | 진하고 꾸덕한 농축 페이스트형 |
청정원 쉐프의 치킨스톡 | 340g | 6g | 7390mg | 95 kcal (100g당) | 부드럽고 순한 가정식 스타일 |
칼노트 치킨스톡 | 1kg | 미표기 | 미표기 | 약 19 kcal (10g당) | 짭짤한 조미료형, 국물 착색 있음 |
foodi 치킨스톡 | 150g | 미표기 | 미표기 | 미제공 | 가루형, 감칠맛 가벼움 |
신선약초 치킨스톡 파우더 | 200g | 미표기 | 미표기 | 미제공 | 국내산 닭고기 함량 높은 프리미엄형 |
치킨스톡 하나만 잘 골라도 요리 결과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저는 인터넷에서 직접 각 제품의 성분, 리뷰, 제형, 활용법, 가격까지 꼼꼼히 비교해가며 조사해봤고,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의 선택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요리를 어렵게 느끼는 분들일수록 치킨스톡은 꼭 한 번 써보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