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 by Kevin
‘앉아 있는 시간이 길면 의자가 곧 내 몸이다’라는 말, 저에겐 그냥 수사가 아니라 실감입니다. 재택근무에 게임까지, 하루 10시간 이상을 의자에서 보내다 보니 결국 허리, 목, 어깨까지 동시에 아프기 시작했고, 그때서야 진심으로 "좋은 의자"가 뭔지 알아보기 시작했습니다. 단순히 등받이만 젖혀지는 구조나 튼튼한 바퀴, 멋스러운 레이싱 스타일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걸 느꼈죠.
그래서 직접 인터넷을 뒤져 제품 정보를 꼼꼼히 비교했습니다. 특히 가성비를 기준으로 10만 원 안팎에서 구매 가능한 게이밍 체어들을 중심으로 분석했습니다. 조립 난이도, 실사용 후기, 시트 재질, 기능의 디테일까지 모두 확인했습니다. 단순히 한두 시간 앉는 게 아니라면, 착석감 하나로 하루의 피로도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착석 쿠션 구조 (폼만 보지 말고 레이어까지 체크)
단순히 PU폼이라고 해서 다 같은 쿠션이 아닙니다. 복합 구조(예: 고탄성 스펀지 + 피규어솜)나 포켓스프링이 들어간 제품은 엉덩이 통증이 훨씬 적고 복원력이 뛰어납니다.
리클라이닝 각도와 무게중심 설계
리클라이닝 각도는 많게는 160도까지 조절되는 제품도 있습니다. 문제는 그 각도에서 무게 중심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느냐입니다. 중심이 뒤로 쏠리는 구조라면 오래 기대는 사용에서 피로도가 높아집니다.
헤드레스트와 팔걸이 조절 기능
고정형보다 조절 가능한 구조가 체형에 맞는 자세 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특히 키가 크거나 작은 사람에겐 목받침과 팔꿈치 위치가 피로도에 큰 영향을 줍니다.